반응형

전체 글 99

[HTML] 웹 접근성(Accessibility) 기본과 ARIA 속성 사용법 – 모두를 위한 웹 만들기

📄 본문웹 접근성(Accessibility)은 장애가 있거나 기술 사용에 제약이 있는 사람도 웹 콘텐츠와 기능을 문제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설계 원칙과 기술을 말합니다.모든 사용자가 동등하게 웹을 경험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은 법적 의무이자, 사용자 경험(UX) 향상에도 매우 중요합니다.이번 글에서는 웹 접근성의 기본 개념과 함께, 접근성 향상에 자주 활용되는 ARIA(Accessible Rich Internet Applications) 속성 사용법을 알아봅니다.1. 웹 접근성(Accessibility) 기본 이해1-1. 왜 웹 접근성이 중요한가?장애인, 노인 등 모든 사용자에게 정보 접근 기회 보장검색엔진 최적화(SEO)에 긍정적 영향법률 및 국제 가이드라인 준수 (WCAG 등)사용자 만족도 및..

Front End/HTML 2025.07.25

[TIP] 프론트엔드 개발환경 세팅하기 – VSCode, Prettier, ESLint 완벽 가이드

📄 본문프론트엔드 개발에서 효율적인 작업과 코드 품질 유지를 위해서는 제대로 된 개발환경 세팅이 필수입니다.이번 글에서는 VSCode 편집기, 코드 자동 포맷터 Prettier, 그리고 코드 품질 검사 도구 ESLint를 중심으로 개발환경을 세팅하는 방법을 자세히 안내합니다.1. VSCode 설치 및 기본 설정1-1. VSCode 설치Visual Studio Code 공식 사이트에서 운영체제에 맞게 설치설치 후 기본 UI와 테마, 단축키 등 취향에 맞게 설정 가능1-2. 필수 확장 프로그램 설치Prettier – Code formatter: 코드 자동 정렬ESLint: 자바스크립트 문법 및 스타일 검사ES7+ React/Redux/React-Native snippets (React 개발 시)2. Nod..

etc/TIP 2025.07.25

[HTML] 반응형 웹사이트 제작을 위한 필수 팁 – 미디어쿼리부터 유연한 레이아웃까지

📄 본문오늘날 다양한 디바이스 환경에 최적화된 웹사이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반응형 웹 디자인이 필수입니다.PC, 태블릿, 모바일 등 화면 크기에 따라 유연하게 변하는 레이아웃과 UI를 구현하는 핵심 기술들을 알아봅니다.1. 뷰포트(Viewport) 설정웹 브라우저가 페이지를 렌더링할 때 참조하는 가상 창인 뷰포트를 제대로 설정해야 반응형이 제대로 작동합니다.width=device-width: 디바이스 화면 너비에 맞춰 페이지 폭 설정initial-scale=1.0: 초기 확대/축소 배율 지정2. 미디어쿼리(Media Queries) 활용CSS 미디어쿼리를 사용하면 화면 크기에 따라 다른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최대 600px) */@media (max-width: 600px) { b..

Front End/HTML 2025.07.25

[SEO] 구글 태그매니저로 이벤트 추적하기 – 클릭/스크롤 트래킹과 GA4 연동 완전 정복

📄 본문디지털 마케팅과 웹 분석에서 중요한 것은 사용자 행동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입니다.그 핵심 도구 중 하나가 **구글 태그매니저(Google Tag Manager, GTM)**입니다.이번 글에서는 GTM을 활용해 클릭 이벤트와 스크롤 이벤트를 추적하는 방법과, 이 데이터를 **Google Analytics 4(GA4)**와 연동하는 팁을 상세히 안내합니다.1. 구글 태그매니저(GTM) 기본 개념태그(Tag): 웹사이트에 삽입하는 코드 조각. 이벤트, 전환, 분석용 스크립트 포함트리거(Trigger): 태그가 실행될 조건(예: 클릭, 페이지뷰, 스크롤 등)변수(Variable): 태그와 트리거가 활용하는 값(클릭한 요소의 클래스명, URL 등)GTM은 태그, 트리거, 변수를 한 곳에서 관리할 수 있는..

etc/SEO 2025.07.25

[GIT] Git으로 협업하기: PR과 리뷰 프로세스 완벽 가이드

📄 본문팀 개발에서 Git은 필수 도구입니다. 여러 명이 동시에 작업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충돌을 최소화하고, 코드 품질을 관리하는 데 **Pull Request(PR)**와 코드 리뷰 프로세스가 핵심 역할을 합니다.이번 글에서는 GitHub Flow를 기반으로 한 협업 워크플로우를 소개하고, 효과적인 PR 작성과 리뷰 방법을 자세히 안내합니다.1. GitHub Flow란?GitHub Flow는 간단하고 직관적인 분산 버전관리 브랜치 전략입니다.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항상 main(또는 master) 브랜치는 배포 가능한 상태 유지새로운 기능, 버그 수정 등 작업 시 별도의 브랜치 생성작업 완료 후 PR(Pull Request) 생성 및 리뷰 진행리뷰 승인 후 main 브랜치에 병합(Merge)2. ..

etc/GIT 2025.07.25

[Claude] Claude를 활용한 문서 요약 자동화 – 긴 보고서도 AI로 손쉽게 정리하기

📄 본문현대 업무 환경에서는 긴 보고서, 회의록, 연구 자료 등 방대한 문서를 효율적으로 정리하는 일이 매우 중요합니다.수작업으로 요약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핵심을 놓칠 위험도 있죠.Anthropic의 AI 모델인 Claude를 활용하면 자연어 처리 기술을 통해 문서 요약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Claude를 사용해 긴 텍스트를 빠르고 정확하게 요약하는 방법과 실전 프롬프트 작성법을 소개합니다.1. Claude란?Claude는 Anthropic에서 개발한 안전성과 윤리성을 강조하는 대형 언어 모델입니다.GPT와 유사한 자연어 처리 능력을 갖추었으며, 특히 민감한 주제와 복잡한 문서 처리에 강점을 보입니다.2. Claude로 문서 요약 자동화하기2-1. 준비하기Claude API 또..

Ai Chat/Claude 2025.07.25

[Copilot] GitHub Copilot으로 코드 자동 완성하기 – VSCode 사용법과 단축키 총정리

📄 본문코딩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여주는 AI 도구, GitHub Copilot!VSCode에서 GitHub Copilot을 사용하면 AI가 실시간으로 코드 자동 완성 제안을 해줘, 개발자가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프로그래밍할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GitHub Copilot을 VSCode에 설치하고 활성화하는 방법부터, 주요 단축키와 활용 팁까지 자세히 소개합니다.1. GitHub Copilot이란?GitHub Copilot은 OpenAI의 GPT 기술 기반 AI 코드 보조 도구입니다.프로그래머가 작성 중인 코드 컨텍스트를 분석해 다음에 올 코드를 제안하거나, 함수 전체를 자동 완성해 줍니다.특히 JavaScript, Python, TypeScript, Go 등 다양한 언어를 지원해 프론트엔드부터 ..

Ai Chat/Copilot 2025.07.25

[GPT] Gemini vs GPT vs Claude 비교 분석 – 대표 AI 언어 모델 특징과 성능 비교

📄 본문최근 AI 분야에서 가장 주목받는 생성형 AI 모델들은 다양합니다. 그중 Google의 Gemini, OpenAI의 GPT 시리즈, 그리고 Anthropic의 Claude는 각각 고유의 강점과 특징을 가지고 있어, 개발자와 기업 모두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이 세 가지 대표 AI 모델의 주요 특징, 지원 언어, 코드 해석력, 그리고 활용도를 비교 분석해보겠습니다.1. 기본 개요모델명 개발사 출시 시기 주요 목적 대표 활용 분야GeminiGoogle2024년범용 AI, 멀티모달 지원검색, 챗봇, 문서 작성, 이미지+텍스트 통합GPT (GPT-4 등)OpenAI2023년범용 자연어 처리챗봇, 코드 생성, 번역, 요약, 콘텐츠 생성ClaudeAnthropic2023년안전성과 윤리 중시..

Ai Chat/GPT 2025.07.25

[GPT] 프롬프트 작성법 제대로 배우기 – AI와 대화할 때 꼭 알아야 할 핵심 팁

📄 본문최근 AI 챗봇, 특히 ChatGPT 같은 대화형 AI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프롬프트(명령문)**를 어떻게 설계하느냐가 매우 중요합니다. 같은 질문이라도 프롬프트 작성법에 따라 출력 결과의 품질과 정확도가 크게 달라집니다.이번 글에서는 좋은 GPT 프롬프트 작성법을 알려드리고, 실제 예제를 통해 어떻게 하면 AI 활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지 살펴봅니다.1. GPT 프롬프트란?프롬프트(Prompt)는 AI에게 주는 ‘입력’ 또는 ‘질문’입니다.프롬프트를 통해 AI가 어떤 정보를 바탕으로 어떤 형태의 답변을 해야 하는지 지시합니다.2. 좋은 프롬프트 작성법 핵심 팁2-1.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작성하기애매모호한 표현 대신 원하는 정보를 구체적으로 설..

Ai Chat/GPT 2025.07.25

[Python] 웹 프론트엔드 개발자를 위한 Python 기초 완벽 가이드

📄 본문웹 프론트엔드 개발자라면 HTML, CSS, JavaScript를 익숙하게 다루지만, 때때로 Python 같은 백엔드 혹은 스크립팅 언어를 배우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특히 반복 작업 자동화, 데이터 처리, 웹 크롤링 등 다양한 분야에서 Python은 매우 유용합니다.이번 글에서는 프론트엔드 개발자 분들을 위해 Python의 기초 문법부터 활용처까지 쉽고 자세하게 설명합니다.1. Python이란?Python은 배우기 쉽고, 읽기 좋은 문법을 가진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특히 다음과 같은 이유로 인기입니다.문법이 간결하고 직관적방대한 라이브러리와 생태계데이터 분석, 머신러닝, 웹 개발, 자동화 등 폭넓은 활용인터프리터 언어로 빠르게 실행 가능2. Python 기초 ..

Front End/Python 2025.07.25

[Vue] Vuex를 Pinia로 마이그레이션하기 - 상태 관리의 새로운 시작

📄 본문Vue 생태계에서 상태 관리는 필수적인 부분입니다. 오랫동안 Vue 공식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로 자리잡았던 Vuex가 있지만, Vue 3와 Composition API 시대에 맞춰 더 가볍고 직관적인 Pinia가 등장하며 많은 개발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Vuex의 한계와 Pinia의 장점, 그리고 Vuex에서 Pinia로 상태 관리 코드를 마이그레이션하는 실습 예제를 소개합니다.1. Vuex의 한계와 Pinia 등장 배경Vuex는 Vue 2 시절부터 상태 관리의 표준으로 사용되었지만, 몇 가지 불편한 점이 존재합니다.복잡한 boilerplate 코드타입스크립트 지원이 번거로움Composition API와의 자연스러운 연동 부족이에 대응해 Vue 팀이 공식적으로 권장하는 차세대..

Front End/Vue 2025.07.25

[React] React Router v6 기본 사용법 완벽 가이드

📄 본문React 기반의 SPA(Single Page Application)를 만들 때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중 하나가 React Router입니다. 2021년에 출시된 React Router v6는 이전 버전과 비교해 사용법이 조금 달라지고, 더 직관적이고 강력한 기능을 제공합니다.이번 글에서는 react-router-dom v6의 기본 설정부터 Route 구성 방법, 그리고 주요 훅인 useNavigate, useParams 사용법까지 예제를 포함해 상세하게 설명합니다.1. React Router v6 설치먼저 프로젝트에 React Router v6를 설치합니다.npm install react-router-dom@6또는yarn add react-router-dom@62. 기본 설정 및 라우..

Front End/React 2025.07.25

[Vue] Composition API vs Options API 차이점

📄 본문Vue 3가 출시되면서 가장 큰 변화 중 하나는 Composition API의 도입입니다. 기존 Options API와는 구조와 작성 방식이 많이 달라져, 처음 Vue 3를 접하는 개발자라면 혼란을 겪을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Vue의 두 가지 API 방식인 Composition API와 Options API의 차이점을 비교하고, 각각의 장단점과 활용 예제를 소개합니다.✅ Options API란?Vue 2에서 주로 사용된 방식으로, 컴포넌트를 정의할 때 data, methods, computed, watch 등 옵션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작성합니다. {{ message }} Update 📌 장점구조가 명확해 초보자가 이해하기 쉬움Vue 2 경험자에게 익숙한 방식빠르게 작성 가..

Front End/Vue 2025.07.25

[React] useState와 useEffect 궁합 완벽 정리 – 상태 변화와 사이드 이펙트 연결하기

📝 본문React에서 컴포넌트를 만들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Hook이 무엇일까요?바로 **useState**와 **useEffect**입니다.이 둘은 각각 "상태를 관리", **"변화를 감지해 작업을 실행"**하는 역할을 하며함께 사용하면 더욱 강력한 기능을 발휘합니다.이번 글에서는 useState와 useEffect를 개념부터 실전 예제까지 완벽하게 정리해드립니다.🧩 useState란?컴포넌트 내에서 **상태(state)**를 저장하고 변경할 수 있게 해주는 Hook입니다.import { useState } from "react";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 useEffect란?컴포넌트가 렌더링된 후 실행되는 함수입니다.API 호출, 타이머, 콘솔 로그..

Front End/React 2025.07.17

[React] useEffect 완벽 가이드 – 의존성 배열부터 클린업까지 한 번에 정리!

📝 본문React에서 컴포넌트가 렌더링될 때 **사이드 이펙트(side effect)**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Hook이 바로 useEffect입니다.데이터 요청, 이벤트 등록, 타이머 설정 등 DOM 외부와 상호작용하는 모든 작업은 useEffect로 처리해야 합니다.이 글에서는 useEffect의 기본 개념부터, 의존성 배열, 마운트·업데이트·언마운트 처리 방법, 그리고 클린업(clean-up)까지 완벽하게 정리해드립니다!🔍 useEffect란?useEffect는 컴포넌트가 렌더링된 이후 실행되는 함수를 등록하는 React Hook입니다.import { useEffect } from 'react';useEffect(() => { // 여기에 비동기 작업, API 호출 등을 작성});⏳ 언제 ..

Front End/React 2025.07.17

[JavaScript] 비동기 처리의 이해: 콜백 vs Promise vs async/await

📝 본문JavaScript는 싱글 스레드 언어입니다.하지만 네트워크 요청, 타이머, 파일 처리 등 시간이 걸리는 작업들을 비동기 처리로 다룰 수 있습니다.비동기 처리를 다루는 대표적인 방식에는콜백(Callback) → Promise → async/await까지 진화해왔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이 세 가지 방식의 차이점과 사용법을 비교, 예제와 함께 쉽게 설명드릴게요.📌 1. 비동기(Asynchronous)란?동기(Synchronous) 처리: 순서대로 실행 → 하나 끝나야 다음 작업비동기(Asynchronous) 처리: 시간이 오래 걸리는 작업은 뒤로 미루고 다른 작업 먼저 실행console.log('1'); setTimeout(() => { console.log('2'); }, 1000); consol..

[CSS] Flexbox와 Grid 완전 정복 – 레이아웃 끝판왕 총정리!

📝 본문웹 레이아웃을 짜다 보면 float, position, inline-block 등으로 한계를 느낀 적 있으신가요?이제는 Flexbox와 CSS Grid로 쉽고 강력하게 레이아웃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Flexbox와 Grid의 차이점, 사용법, 실제 예제를 통해 완전히 정복할 수 있도록 정리해드립니다!🧱 Flexbox vs Grid 한눈에 비교항목FlexboxGrid주 용도일차원(가로 or 세로) 레이아웃이차원(가로+세로) 레이아웃정렬 방향주축(Main axis) / 교차축(Cross axis)행(Row)과 열(Column) 모두 지정 가능적합한 구조요소 정렬 중심전체 페이지 or 복잡한 레이아웃사용 난이도쉬움상대적으로 복잡하지만 강력함반응형 지원우수우수 🔹 Flexbox 완전 ..

Front End/CSS 2025.07.17

[HTML] 시멘틱 태그(Semantic Tag) 제대로 알기 HTML5 구조 잡는 핵심 포인트!

📝 본문웹 페이지를 만들다 보면 태그로 도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HTML5에서는 콘텐츠의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시멘틱 태그(Semantic Tag)**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이번 글에서는 시멘틱 태그란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 그리고 어떤 태그들이 있는지 예제를 포함해 상세히 알려드릴게요.📌 시멘틱 태그란?Semantic Tag는 태그 이름만 봐도 그 역할과 의미를 유추할 수 있는 HTML 태그를 의미합니다.기존의 , 처럼 의미 없는 태그가 아닌, 문서의 구조와 의미를 명확하게 만들어주는 태그입니다.✅ 예시 비교일반 태그시멘틱 태그 🧠 시멘틱 태그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코드 가독성 향상 – 다른 개발자가 구조를 쉽게 이해할 수 있음SEO(검색엔진 최적화)에 유리 – 검색..

Front End/HTML 2025.07.17

[CSS] 공백과 줄바꿈 완전 정복! 실무에서 헷갈리는 공백 처리 제대로 이해하기

HTML과 CSS를 배우다 보면 누구나 한 번쯤 헷갈리는 부분이 바로 공백과 줄바꿈 처리입니다.특히 CSS를 이용해 요소 간의 간격을 조절하려고 할 때, 의도치 않게 생기는 공백 때문에 레이아웃이 무너지는 경험을 하셨을 수도 있어요.이번 포스팅에서는 CSS에서 공백과 줄바꿈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어떤 속성들이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실무에서 어떻게 다뤄야 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1. HTML의 공백 처리 기본HTML에서는 **연속된 공백(띄어쓰기, 탭, 줄바꿈)**이 모두 **하나의 공백 문자(space)**로 처리됩니다.안녕하세요, 저는 개발자입니다. 위 코드는 브라우저에서 다음과 같이 출력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개발자입니다.이러한 처리는 HTML 자체의 기본 동작입니다. 여러 줄을 띄워도 눈..

Front End/CSS 2025.05.30

[JS] map() vs forEach() 차이점 완벽 정리! 언제 어떤 걸 써야 할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JavaScript에서 배열을 다룰 때 자주 사용하는 메서드인 map()과 forEach()의 차이점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두 함수 모두 배열의 각 요소를 반복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해주지만, 사용 목적과 결과는 분명히 다릅니다.이 글을 통해 map()과 forEach()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고, 상황에 맞는 적절한 선택을 할 수 있게 도와드릴게요!1. 기본 개념◇ forEach()배열의 각 요소에 대해 반복 작업 수행반환값이 없음(undefined)단순히 사이드 이펙트(side effect, 출력, 저장 등)를 줄 때 사용const numbers = [1, 2, 3];numbers.forEach(num => console.log(num * 2)); // 2, 4, 6 출력..

반응형